저 두개는 vsc에서 그냥 print()로 찍어보면 똑같게 나온다.
그래서 주피터로 해봄
후자의 장점은 저렇게 씀으로서 저 리스트 덩어리를 문자열 하나로 볼 수 있음.
문자 개수세기 문제에서 활용 가능
#1~10000에서 숫자 8이 등장하는 개수 세기(8808은 +3개)
# 방법1
print(str(list(range(1, 10001))).count('8'))
# 방법2
count = 0
for i in range(1, 10001):
if '8' in str(i):
count += str(i).count('8')
print(count)
# 방법3
print(str([i for i in range(1, 10001)]).count('8'))
'💬 Programming Language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Usage of Global Variable (0) | 2023.01.23 |
---|---|
Practice Tree Recursion (0) | 2022.07.08 |